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여성질환 > 다낭성 난소 증후군

다낭성 난소 증후군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가임기 여성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내분비 질환입니다. 종류에는 배란 장애, 희발 배란이 있는 여성에겐 다낭성 난소의 초음파 소견과 고안드로겐 혈증이 있습니다. 다시 말해, 만성 무배란과 고안드로겐 혈증을 특징으로 하며 초음파상 다낭성 난소 형태가 관찰되고 비만, 인슐린 저항성 등의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 있는 증후군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원인

발병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다른 복합성 질환과 마찬가지로 유전적 인자 및 환경적 인자가 모두 작용하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증상

- 배란장애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의 약 60~85%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희발 배란, 무배란으로 인해 희발 월경, 무월경 증상이 흔하게 나타나고, 약 30%에서는 기능성 자궁 출혈이 나타납니다. 사춘기 때 시작하여 평생 지속될 수 있으며, 배란 장애로 인하여 불임으로 이어질 수도 있습니다. - 고안드로겐 혈증 고안드로겐 혈증과 다모증의 가장 흔한 원인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입니다. 고안드로겐 혈증이란 안드로겐(남성 호르몬) 과다 상태를 뜻합니다. 임상 증상은 다모증, 여드름, 남성형 탈모 등으로 나타납니다. 다모증은 굵고 뻣뻣하며 색이 진한 남성형 종말털이 자라는 것을 뜻합니다.​ - 생식샘 자극 호르몬의 분비 이상 혈중 황체 형성 호르몬과 난포 자극 호르몬의 비율이 증가하는 것이 전형적입니다. - 대사 증후군 각종 심혈관 질환과 제2형 당뇨병의 위험 요인들이 서로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인슐린 저항성, 이상지질 혈증, 비만이 있습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 여성의 50~75%에서 인슐린 저항성이 관찰되며, 비만일 경우 더 증가합니다. 이상지질 혈증은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서 보이는 가장 흔한 대사 이상으로, 거의 70% 이상의 환자에서 나타납니다. - 자궁내막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는 자궁내막암의 발생률이 3배 정도 증가합니다. 폐경 후 유방암 발생률도 3~4배 증가합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치료•약물

- 신체검사 체중과 키, 허리 둘레, 혈압, 다모증 점수를 평가합니다. - 만성 무배란의 진단 병력 청취를 통해 판단하거나, 최근의 월경 주기에서 추정 배란일 이후 황체 호르몬의 농도를 측정하여 배란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 고안드로겐 혈증의 진단 다모증, 탈모, 여드름과 같은 임상적 증상이나 혈중 안드로겐 수치의 상승을 확인하여 진단이 가능합니다. - 혈액 검사 비만한 경우 포도당을 먹기 전, 후의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의 변화를 관찰하는 경부당부하 검사를 실시합니다. - 초음파 검사상 다낭성 난소 한쪽 난소가 2~9mm 직경의 난포가 12개 이상 관찰되거나 난소의 부피가 10cm3 이상으로 증가되어 있는 특징이 나타나면 진단이 가능합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치료•약물

다낭성 난소 증후군의 치료는 완치의 개념이 아니라, 환자의 증상에 맞추어 비수술적 치료,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생리 불순,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 발생 위험, 고안드로겐 혈증, 불임, 제2형 당뇨의 발생 위험,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 위험의 측면을 고려합니다. 비수술적 치료 다낭성 난소 증후군에 대한 내과적인 치료는 반응이 느리기 때문에 치료 효과를 보기 위해 수개월 정도가 필요합니다. 비만의 환자의 경우 첫 번째 치료는 체중 감량이며, 체중의 2~5% 정도만 감소하여도 대사와 생식 기능이 호전됩니다. 식이에 대한 지침은 크게 없으나, 전체 섭취 칼로리를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 전기소작술, 레이저 기화술, 복강경을 이용한 난소 절제, 난소 천공술이 있습니다. 수술 후 항체 형성 호르몬 농도가 정상화되고, 안드로겐 수치와 인슐린 저항성이 감소되는 효과를 보이며, 클로미펜에 효과가 없는 다낭성 난소 증후군 환자에서 이차 치료로 권고됩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합병증

당뇨 및 당불내성과 심혈관 질환, 자궁내막증식증 및 자궁내막암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tag

다낭성 난소 증후군 예방

질환의 발생 자체를 예방하는 방법으로 알려진 것은 없으나, 비만인 경우 고안드로겐 혈증의 임상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장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인 당뇨나 심혈관계질환 및 자궁내막암에 대한 예방 효과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